'Spring'에 해당되는 글 33건
- 2020.04.07 :: Apache Tomcat 설치
- 2020.04.07 :: Maven 설치
- 2020.04.06 :: 스프링(Spring) 개요
(공감과 댓글 하나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.)
자바에서 웹 서버를 개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Apache Tomcat을 가장 많이 사용한다. Apache Tomcat은 Web Container로 Apache와 Tomcat이 합쳐진 형태이다.
1. Apache Tomcat 공식 사이트에 접속 (http://tomcat.apache.org/)
2. 스크롤을 내려 원하는 버전으로 이동 후 Download 클릭
3. Core의 zip을 클릭하여 파일 다운로드
4.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 해제 후 경로 복사
5. 파일 탐색기에서 내 PC 마우스 우클릭 - 속성(R)
6. 왼쪽의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
7. 고급 탭의 환경 변수(N) 클릭
8. 시스템 변수의 새로 만들기(W) 클릭
9. 변수 이름(N) 에 CATALINA_HOME, 변수 값(V) 에 Apache Tomcat을 설치한 경로를 입력 후 확인 클릭
10. 시스템 변수의 Path를 선택 후 편집(I) 을 클릭하거나, Pat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 만들기(W) 클릭
11. 우측의 새로 만들기(N) 를 클릭하고, %M2_HOME%\bin 입력 후 확인 클릭
12. Win + R 키를 눌러 실행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실행
13. startup을 입력하여 Apache Tomcat 실행
14. 마지막 부분의 포트번호 확인
15. 웹 브라우저에서 localhost:포트번호를 입력하여 정상적으로 실행이 되는 것 확인
'Spring > Insta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클립스(Eclipse) Apache Tomcat 설정 (0) | 2020.04.20 |
---|---|
이클립스(Eclipse)에 STS(Spring Tool Suite) 설치 (0) | 2020.04.14 |
Maven 설치 (0) | 2020.04.07 |
(공감과 댓글 하나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.)
Maven은 Apache Software Foundation에서 개발한 Java 기반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빌드 도구로, 컴파일과 빌드를 동시에 수행하고, 서버의 Deploy 자원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.
1. Maven 공식 사이트에 접속 (http://maven.apache.org/)
2. 좌측 메뉴의 Download 클릭
3. Binary zip archive의 apache-maven-3.6.3-bin.zip 클릭하여 파일 다운로드
4. 다운받은 파일의 압축 해제 후 경로 복사
5. 파일 탐색기에서 내 PC 마우스 우클릭 - 속성(R)
6. 왼쪽의 고급 시스템 설정 클릭
7. 고급 탭의 환경 변수(N) 클릭
8. 시스템 변수의 새로 만들기(W) 클릭
9. 변수 이름(N) 에 M2_HOME, 변수 값(V) 에 Maven을 설치한 경로를 입력 후 확인 클릭
10. 시스템 변수의 Path를 선택 후 편집(I) 을 클릭하거나, Path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새로 만들기(W) 클릭
11. 우측의 새로 만들기(N) 를 클릭하고, %M2_HOME%\bin 입력 후 확인 클릭
12. Win + R 키를 눌러 실행에서 cmd를 입력하여 명령 프롬프트 실행
13. mvn -version을 입력하여 maven 버전이 정상적으로 표시되는 것을 확인
'Spring > Instal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이클립스(Eclipse) Apache Tomcat 설정 (0) | 2020.04.20 |
---|---|
이클립스(Eclipse)에 STS(Spring Tool Suite) 설치 (0) | 2020.04.14 |
Apache Tomcat 설치 (0) | 2020.04.07 |
(공감과 댓글 하나는 글쓴이에게 큰 힘이 됩니다.)
스프링 프레임워크
-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자바 플랫폼을 위한 오픈소스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이다. 스프링은 모듈로 구성되어있으며, 주요 기능으로 DI, AOP, MVC, JDBC 등을 제공한다.
※ 프레임워크(Framework) : 개발 시 기본이 되는 뼈대나 틀
- DI(Dependency Injection) : 클래스 간의 의존관계를 컨테이너가 자동으로 연결
- AOP(Aspect Oriented Programming) : 공통 기능을 분리시켜 별도로 처리하고, 필요한 시점에 적용
- MVC(Model-View-Controller) : Model, View, Controller로 구조화시키는 디자인 패턴
- JDBC(Java Database Connectivity) : 자바에서 DB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
스프링 프레임워크 모듈
- spring-core : 스프링의 핵심인 DI(Dependency Injection)와 IoC(Inversion of Control)를 제공
※ IOC(Inversion of Control) : 인스턴스의 생성부터 소멸까지의 객체 생명주기를 스프링(컨테이너)이 관리
- spring-aop : AOP 구현 기능 제공
- spring-jdbc : 데이터베이스를 쉽게 다룰 수 있는 기능 제공
- spring-tx : 트랜잭션 관련 기능 제공
- spring-webmvc : 스프링에서 독립적으로 Model, View, Controller를 지원하기 위한 기능 제공
스프링 컨테이너(IOC)
- 스프링에서 객체를 생성하고 조립하는 컨테이너로, 컨테이너를 통해 생성된 객체를 빈(Bean)이라고 부른다.
'Spring > Stud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스프링(Spring) 설정 파일 분리 (0) | 2020.04.09 |
---|---|
스프링(Spring) 다양한 의존 객체 주입 (0) | 2020.04.08 |
스프링(Spring) DI(Dependency Injection) (0) | 2020.04.08 |
스프링(Spring) Hello World! (0) | 2020.04.07 |
스프링(Spring) 프로젝트 생성 (0) | 2020.04.07 |